*핫이슈*

겨울철차량관리,타이어,부동액,와이퍼,배터리교환주기

베스트 운전면허학원 2021. 12. 15. 10:39

이제 겨울이 시작 되었습니다.

눈도 오고 얼음도 얼고 날씨가 추워지면 겨울철 안전 사고에 대비해서 기본적인 차량 관리도

필요 합니다.

그래서 비교적 어려움이 없고 초보자도 확인해 볼수 있는 사항 몇가지를 살펴 보겠습니다.

1. 배터리 점검

자동차 배터리는 낮은 기온의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3년을 주기로 점검이나 교체가 필요한 배터리는 교체주기가 되어가면서 성능이 저하되는데요.

겨울이 오기전에 교체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겨울에는 낮은 기온으로 인해 배터리 성능이 낮아지며 히터등의 전기장치 사용이 많아지기

때문에 평상시보다 빠르게 방전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배터리 인디케이터안의 색을 확인하여 검은색인 경우 충전을 해야 하고 흰색인 경우는 배터리를

교체해야 합니다.

2. 냉각수 관리

엔진과열을 막아주는 냉각수는 부동액과 물의 혼합물입니다.

이 냉각수에 있는 물은 겨울의 추운 날씨에는 얼어버릴수도 있습니다.

겨울에는 얼지않도록 겨울용 워셔액으로 교체해주는것이 좋습니다.

부동액이나 워셔액은 주유소에서도 구비해 놓은 곳이 많으니 참고해 두시면 좋습니다.

워셔액 보충하기

냉각수 보충하기

3. 타이어 관리

온도가 떨어지는 겨울에는 공기밀도가 높아지고 부피는 감소하는 성질을 가져 타이어의 공기압이 줄어들기도 합니다.

따라서 미리 공기압 체크를 해주는것이 좋고 마모된 타이어는 교체를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마모된 타이어는 노면과의 마찰로 인해 제동거리가 늘어나게 되고 사고 발생 확률이 높아집니다.

또한 눈이 오면 제동력이 더 감소 하면서 위험함으로 겨울전에 새 타이어(겨울용 타이어)로 교체하는 것이 좋습니다.

겨울에는 적정 공기압보다 5~10% 정도 높여주고 최대 공기압은 80%정도를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타이어 마모도 확인

타이어 공기압 확인

4. 와이퍼 확인

보통 권장하는 교체 주기는 6개월 ~ 1년 입니다.

만약 와이퍼를 자주 사용하는 분이시라면 6개월에 한번씩 또는 5,000km 주행시교체 해주시는것을 추천 드립니다.

그런데 많이 사용하지 않으셔도 6개월이 되지 않았어도교체해야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와이퍼가 제대로 닦이지 않거나, 작동이 제대로 되지 않거나,소음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고장이 난것이기 때문에

즉시 교환 하시는것이 좋습니다.

                                깨끗이 닦이나 학인